CPU(중앙처리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는 컴퓨터의 연산과정을 처리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중의 하나입니다.
실제적으로 사용자들이 업그레이드 했을 때 속도가 체감되는 3가지 부품인 CPU, RAM, SSD 중의 하나기이도 합니다.
CPU는 컴퓨터의 뇌라고 할정도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컴퓨터를 구매하거나 조립하기에 있어 제일 먼저 고려하게 되는 부분입니다.
사실 최신의 제일 고성능의 CPU를 찾아서 쓰는것이 당연히 좋은 결과가 나오겠지만 그렇게 하지 않는 이유는 결국 '비용' 때문입니다. 고성능일수록 가격이 비싸고, 저성능일수록 가격이 싸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지요.
그렇다면 고성능과 저성능의 구분은 어떻게 할까요?
간단하게, 고성능일수록 코어와 쓰레드와 클럭이 높습니다. 저성능일수록 단일코어에 가까워지죠.
실제로 우리는 초고성능보다는(있으면 좋겠지만) 인터넷 잘 되고, 게임이 안 끊기고 원하는 프레임이 잘 나오며, 영상제작등 작업할 때 심하게 느리지만 않으면 만족하는 일반적인 사용자들이기에 적당한 성능의 컴퓨터를 맞출 수 있으면 됩니다.
이러한 기준에서 CPU의 종류, 성능, 가격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텔 CPU
인텔 CPU는 오랜시간 CPU 시장에서 1위를 점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구하기도 쉽고 사용하고자 하는 성능에 맞춰 라인업이 잘 되어 있습니다.
또한 2020년 현재는 뛰어난 가성비의 AMD와의 가격경쟁이 치열하여 이전보다 판매가가 내려가있는 점도 유의깊게 볼만한 상황입니다.
1)업그레이드시
대체로 CPU의 경우 같은 세대 라인업은 예외를 제외하고 동일한 소켓을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CPU만을 업그레이드 하려는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했던 CPU의 라인업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코어와 쓰레드를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현재 펜티엄을 사용하고 있다면 i3, i5, i7 등으로 같은 소켓을 사용하는 제품으로 교환해주면 됩니다.
하지만 펜티엄 듀얼(2) 코어, 4쓰레드 CPU를 사용하고 있는데 굳이 i3 듀얼(2) 코어, 4쓰레드 로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이 때는 i3 쿼드(4) 코어나 i5 쿼드(4), 헥사(6) 코어 이상으로 바꿔주어야 업그레이드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하이퍼쓰레딩이나 내장 그래픽등 기능을 생각해야 하는 부분도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구별방법은 코어와 쓰레드를 보는 것입니다.
2)구매, 조립시
직접 구매, 조립을 하는 상황에서도 코어와 쓰레드를 기준으로 구매해야 겠지만 업그레이드보다 좀 더 자유롭습니다.
왜냐하면 메인보드와 그래픽카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무용의 경우 굳이 고가의 외장 그래픽카드를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내장 그래픽이 있는 CPU를 사용해도 인터넷이나 동영상 재생등은 전혀 문제없이 사용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내장 그래픽이 있는 CPU를 구매하는 것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더 이득이 될 수 있습니다.
내장 그래픽이 탑재되어 있는 CPU로 9세대, 10세대 i3 CPU 입니다.
둘다 쿼드 코어지만 10세대는 8쓰레드, 9세대는 4쓰레드라 성능은 10세대가 더 좋군요.
내장 그래픽은 인텔 UHD 630으로 동일하네요.
아직까지 9세대도 주력 세대라 가격차이가 별로 나지 않습니다.
위의 사진은 i7과 i5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어는 동일하지만 쓰레드 수나 기본 클럭이 다르죠.
그렇다면 질문하나 할까요?
위의 4가지 CPU를 보았을 때, 새로 조립을 할 때 어떤 CPU를 사용해야 할까요?
코어와 쓰레드를 보았을 때, i7-7700과 i3-10100 중 하나로 선택하면 되겠죠.
여기서 가격적인 면과 10세대가 최신 라인업임을 고려하면 7세대 i7보다는 10세대 i3가 나을 것입니다.
이러한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인텔 CPU가 7세대 이후 i3, i5, i7에 대한 기본 코어와 쓰레드 수를 높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같은 10세대 i5, i7을 보면 각각 헥사 코어와 옥타 코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새로 조립하거나 구매할때는 지금 최신 라인업이 몇 세대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인텔 CPU 결론
잘 아시는 분들은 당연히 잘 선택하실테고,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결론입니다.
최신 라인업을 확인한 후에, 사무용이면 i3을 구매하시고, 게임용이면 i5를 구매하세요.
그리고 돈이 많으시거나 영상편집등 고성능이 필요할 때는 i7이나 i9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2. AMD CPU
과거 AMD CPU를 사용하게 되는 이유는 대체로 '비용'절감을 위해서였습니다.
인텔보다 성능은 떨어지지만 그만큼 저렴한 가격대였죠.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떨어지는 성능은 올라오고 가격은 저렴하게 유지하다보니 어느새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난 CPU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대체로 라이젠이 뜨기 시작한게 2-3년정도라 업그레이드보다는 새로 맞추시는 분들이 많아 인텔처럼 구분하지는 않겠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인기있는 AMD CPU 3대장입니다.
RYZEN 5 3600 는 AMD CPU의 대표 CPU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나왔을때, 저렴한 가격대에 훌륭한 성능으로 AMD CPU에 대해 다시 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던 CPU입니다.
헥사(6) 코어, 12 쓰레드로 영상편집, 게임까지 무리없이 받쳐주면서 가격은 199달러로 출시되어 우수한 가성비를 보여준 제품이었습니다.
당시 i7-9700K와 비교하는 글이 많이 올라왔는데, i7은 옥타(8) 코어로 CPU등급이 더 높지만 가격이 380달러정도로 한화로 20만원정도 차이가 발생해 그 정도 비용이면 그래픽 카드를 더 좋은 것을 구매하는 것이 게임을 돌리기에 더 적합하다는 취지의 비교글이었습니다.
실제로 옥타코어이상 활용하는 게임이 별로 없어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2020년 8월)기준으로는 국내재고가 없어서 갑자기 가격이 엄청 올랐네요. 7월까지 19~20만원대였는데 지금은 27만원이상이니 구매하시는건 미루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RYZEN 5 3700X
3600보다 고성능의 CPU 로 옥타(8) 코어, 16쓰레드로 가성비보다는 좀 더 고성능을 원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넘버링입니다.
위에 언급했지만 옥타 코어이상 활용하는 게임을 하지 않는 한은 차이를 거의 못 느끼기 때문에, 적당히 게임정도만 하는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3600이면 충분합니다.
그렇다면 3700X을 구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렌더링이나 영상편집등 멀티 코어, 멀티 쓰레드를 요청하는 작업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3600보다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작업 속도가 차이가 나니 업무효율을 위해서는 나쁘지 않죠.
RYZEN 3 3300X
마지막으로 대망의 3300X 입니다.
처음 나왔을 때부터 호평의 대상이 되었던 CPU로 쿼드(4) 코어, 8쓰레드임에도 게임을 돌렸을 때 3600과 거의 차이가 없는데 가격은 120달러로 출시되어 진정한 가성비갑 CPU로 소문이 났었죠.
단, 코어 수가 적기 때문에 게임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는 병행하게 되면 3600보다 성능은 떨어집니다.
컴퓨터 키고 딱 게임만 할때의 성능은 3600과 비슷한데 그 이유는 제조공정의 이유로 3300X가 더 레이턴시가 유리해서 발생하는 차이입니다.
간혹 3500X와 비교하려는 분들이 있는데 3300X가 너무 가성비가 좋아서 굳이 비교할 필요가 없는게 현재 상황입니다.
2020년 8월 21일 기준으로는 가격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가성비는 좋지만 곧 차세대에 대한 출시예고도 있어 지금 맞추시기보다는 조금 기다리는 것도 괜찮을거 같네요.
결론
라이젠의 장점은 소켓 변화가 적어 AM4 소켓을 기반으로 추후 차세대 CPU로 업글하기가 용이하고 가격대가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보급형 CPU로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지만 더불어서 가격도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거기에 AMD가 성능을 끌어올림에 따라 인텔도 라인업당 코어 수를 늘리는 등의 발전과 가격경쟁을 시작함으로써 가격이 내려가서 이제는 꼭 AMD가 가성비, 인텔이 고성능 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기도 애매하네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만약 이번에 컴퓨터를 구매하시거나 조립하실 의사가 있으신 일반적인 사용자이시면,
사무용은 i3 10세대로, 게임용은 i5 10세대나 RYZEN 3 3300X(가격이 떨어지길 기다려서), 영상편집이나 고성능의 게임등을 더 필요로 할 때는 RYZEN 5 3600으로 맞추시는것이 무난할 것같습니다.
물론, 돈이 충분하다면 더 고성능으로 가시면 되고, 더 많은 정보를 알아보시고 구매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IT 이야기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조립할 때 고려할 점&추천 - 그래픽카드편 (2) | 2020.08.26 |
---|---|
컴퓨터 조립할 때 고려할 점&추천 - 메모리편(RAM,HDD,SSD) (3) | 2020.08.24 |
컴퓨터 조립할 때 고려할 점&추천 - 메인보드편 (0) | 2020.08.19 |
컴퓨터 조립할 때 고려할 점&추천 - 파워편 (4) | 2020.08.17 |
[리뷰] 메인보드 - ASUS EX-A320M-GAMING (4) | 2020.08.14 |
댓글